시인의 혀

Published

위병소를 내려오다가 문득 뒤돌아본 1982년
8월 27일의 부대 진입로 무엇이 따라오며
내 낡은 군복 뒤에서 소리쳐 부르고 있었을까
부르느냐 잡으면 탄피처럼 후두둑 떨어지는 사계(四季)
여름을 살면서 가을을 불시착하고 때로는
하찮은 슬픔 따위로 더러운 그리움으로
거꾸로 돌아가기도 했던 헝크러진 시침(時針)의 사열(査閱)

떠나야 하리라
단호히 수입포 가득 음습한 시간의 녹 닦아내며
어차피 우리들 청춘이란 말없음표 몇 개로 묶어둔
모포처럼 개어둔 몇 장 슬픔 아니던가
많은 기다림의 직립(直立)과 살아 있지 않음들 또한 땅에 묻히리라
잊혀지리라 가끔씩 낯선 시간 속에서 뒤늦게 폭발하는
불발탄의 기억에 매운 눈물 흘리며
언젠가는 생을 낙오하는 조준선 위로 떠오르는
몇 소절 군가의 후렴에 눈살 찌푸리며 따라 일어설
추억들이란 간직할 것이 못 되었다.
물론 먼먼 훗날 계급장 떼어버린 더욱 각도 높은 경례(敬禮)의 날을
살아가다가 거리에서 문득 마주치는
군용 트럭 가득가득 실린 젊음의 중량 스쳐가며
마지못해 쓸쓸히 웃겠지만
그때까지 무엇이 살아 있어 내 젊은 날 눈시울 축축이 적셔주던
흙길의 군화 자국 위에서 솟구쳐올라
굳은 땅 그득히 흘려줄 내부의 눈물 간직할 건가

잘 있거라 돌아보면 여전히 서 있는 슬픔
또한 조그맣게 잘리며 아스라히 사거리(射距離)를 벗어나는
표적지(標的紙)처럼 멀어지거늘
이제 나는 어두운 생의 경계에 서서
밤낮으로 시간의 능선(稜線)을 넘어오는 낮은 기침 소리 하나하나 생포하며
더욱 큰 공포와 마주서야 하는 초병이 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잘 있거라 내 젊은 날 언제나 가득히
그 자리 고여 있을 여름, 그 처연(悽然)한 호각 소리여
훈련이란 우리들 행군간의 뒤돌아보지 않는 연습의 투사(透寫)일진대
오,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발견하는 하늘
입간판(立看板)을 돌아설 때 한꺼번에 총을 겨누는 사계(四季)
뒤돌아보면 쏜다. 그리하여 두 손 들고 내려오면 위병소
그 질척한 세월의 습곡(濕谷) 아아, 사나이로 태어나서

—기형도, <제대병>

이 시를 읽고 기형도가 겪었을 군 생활이 궁금하여 검색을 해보면, 사실 기형도는 방위로 근무를 했으며 대학 시절 친구였던 성석제에게는 자신이 현역으로 간다고 거짓말을 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줄이나 끄적인다는 이들은 언제나 자신의 경험을 과장하기 마련이다. 말은 함부로 믿을 것이 되지 못하며, 그렇기 때문에 말을 부리는 (나를 비롯한) 이들은 더욱 주의하여 내관(內觀)하고 반청(返聽)할 일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