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Gray, The Immortalization Commission

Pouring are all too many good things to read online, so I’ve been just dumping them into Pocket when I see one and giving empty promises that I’ll take a look. But I do try read it all every time the New Statesman publishes John Gray’s write-ups. His contemplation has the power to penetrate the surface of what we usually see as being novel to reveal it is also a mere recurrence of things of the past.

It’s been already about five years since The Immortalization Commission came out. The belief that humankind can (and will be able to) extend its life to the level of immortality is way much older: for example, Ray Kurzweil published The Age of Spiritual Machines in 1999.

But it keeps coming back. While I was reading Yuval Harari’s interview as his new book Homo Deus is released in the US, I knew now it’s time to read The Immortalization Commission at last.

The book consist of three parts and, to my surprise, most of the Part I and II were redundant. Even a tenth of the both parts could have been enough to prop up what Gray’s going to say in Part III.

Fortunately the Part II, which describes Soviet Russians’ effort to achieve immortality and god-like quality by technology was much more interesting and enlightening than the Part I, which often left me confounded with too many details of Brits’ experiment on the spiritual communication with the dead.

Bolsheviks’ faith in technology that it will soon make the humankind become gods is now being echoed by the likes of Kurzweil today, with Harari being the latest interlocutor. Gray even points out, interestingly, Kurzweil’s belief that technology will make human consciousness become cosmic consciousness shares its basis with occultist thoughts like Theosophy and ancient Gnosticism.

Gray goes further to argue that there are in fact no difference in essence between science and magic/occultism/religion/myth:

[quote]Religion is not a primitive type of scientific theorizing, any more than science is a superior kind of belief-system. Just as rationalists have misunderstood myths as proto-versions of scientific theories, they have made the mistake of believing that scientific theories can be literally true. Both are systems of symbols, metaphors for a reality that cannot be rendered in literal terms. Every spiritual quest concludes in silence, and science also comes to a stop, if by another route.[/quote]

Is this another post-modernist bullshit? But I sense a difference. While some of the so-called post-modernists attempted to dethrone the idea of one single truth or science, the motive of which is political by nature, Gray’s argument sounds religious to me. We have to realize and accept that there is a certain limit and all we can do, after all, is to contemplate, I think he meant.

Gray certainly learned a lot from the schools of mysticism as well as what we usually call humanities. Which makes him one of the greatest thinkers in our time, I dare to say.


새 글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뭐가 올라올지는 몰라도 그럭저럭 읽을 만합니다.


Comments

2 responses to “John Gray, The Immortalization Commission”

  1. 오세원 Avatar
    오세원

    안녕하세요, 김수빈 편집자님.

    얼마 전 “맨부커상까지 받은 데보라 스미스의 ‘채식주의자’ 번역에는 엉뚱한 오역이 너무나 많다”라는 기사에 제 블로그를 링크해 놓으셔서 깜짝 놀랐었습니다. 우연히 제 블로그를 발견하신 건지 아니면 평소 제 이웃이셨는지(이건 아닌 것 같아요 ^^) 어떤 경로로 제 블로그가 편집자님의 글에 링크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나름 큰 의미를 둘 만한 일로 생각하고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저런 일들로 해서 최근에는 그나마 올바른 번역에 관한 관심이 조금씩 커지고 있는 것 같아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번역에 대한 논의들도 채식주의자처럼 예외적인 책들을 위주로 진행이 되는 것 같아 안타까움도 있습니다. 대형 출판사들의 경우, 꾸준히 팔리는 자신들의 스테디셀러, 특히 중고생들의 필독서라 여겨지는 책들이 오역투성이라는 것을 알지만 이를 시정하려는 아무런 노력도 없이 판매에만 열을 올리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에 과연 독자들을 진정으로 고려하는 출판사들이 한 군데라도 있는 것인지 회의가 듭니다. 무엇보다 어린 학생들이 이상한 번역으로 책을 읽으면서 외국문학이나 번역서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게 될까 걱정스럽습니다. 가령 민음사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2001년에 초판을 발행한 이후 전혀 손을 보려는 시도도 없이 끝없이 책을 찍어내는 몰염치의 대표적인 케이스라 할 수 있습니다. 김수빈 편집자님도 번역을 하시니까 제 블로그에 따로 추려놓은 글들을 몇 개만 읽어보셔도 사태의 심각성을 아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asnever.blog.me/70188360728)

    채식주의자나 호밀밭의 파수꾼 등의 오역 사례를 책으로 내어 제대로 된 번역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도 생각을 해봤지만 쉽지가 않습니다. 자신들의 글을 인용해 오역 사례집을 만들어도 좋다고 허락을 해줄 정도의 출판사면 애초에 오역에 대한 지적이 나왔을 때 뭔가 조처를 취하려는 시늉이라도 했겠죠.

    갑자기 생각난 김에 두서없이 글을 썼습니다. 몇 번 글을 드리려 생각했지만 새로 시작한 직장생활이 바빠 경황중에 잊어버리고는 했습니다. 앞으로도 번역에 관한 좋은 기사들을 기대하겠습니다.

    오세원 드림

    1. 오 선생님, 메시지 감사드립니다. 스미스 오역의 문제점들을 지적한 글들 중 가장 충실하고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 기사에 링크를 걸었을 따름입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메일로 드릴게요.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