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윌슨을 되새기며

Published

이응준 작가가 몇년 전엔가, 인터뷰 자리에서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를 챙겨온 것을 기사에서 본 기억이 있다.

조선땅에 처음으로 ‘아웃사이더’가 소개됐을 때의 파문은 상당했다고 들었다. 나는 그 시절의 문학청년 세대가 아니기 때문에 예전에 그러했던 형님들의 이야기로 미루어 보건대 그렇다는 것이다. 내가 처음에 어떻게 하여 이 책을 읽게 되었는지는 이제 기억이 나지 않는다. 분명히 기억나는 것은, 내가 한참 학업을 계속해야 하는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던 시절, 수업 때 교과서 대신 이 책을 여러 차례 읽고 있다가 수업 중이던 교사에게 걸려서 크게 혼이 났던 일 정도다.

단 24세에 불과했던 독학자가 이렇게 방향이 뚜렷한 문학평론(물론 이 책이 다루는 범위는 일반적인 ‘문학’을 훨씬 초과하지만)을 냈다는 사실은 처음 이 책이 영국에서 나왔을 때나, 처음 조선땅에 들어왔을 때나 심지어 지금까지도 놀라운 일이다. 그리고 이는 세계의 문학청년들에게 24세가 될 때까지는 조바심을, 그 이후에는 열패감을 주는 근원이 됐다.

‘아웃사이더’에서 윌슨이 보여주는 진정한 천재성은, 이미 이 첫 평론서에서 평생의 과제를 설정하는 데 성공했다는 데서 나온다. 사르트르니 카뮈니 하는 실존주의자들의 한계를 직시하고 이를 돌파하기 위해 구르지에프까지 손을 뻗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세계의 종교와 신화, 그리고 비학esotericism에 대한 나의 관심은 절반이 음악, 나머지 절반이 윌슨에게서 연원한 것인데 특히 우스펜스키와 구르지에프를 접하게 된 것은 거의 전적으로 윌슨 덕택이었다.

인터뷰에서 이응준 작가는 윌슨이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언급했다. 문득 그가 생전 마지막으로 남긴 인터뷰의 내용이 궁금해져 찾아보았다. 지금은 가디언에 편입된 옵저버에 인터뷰 기사가 있었는데 거기서 묘사된 윌슨의 모습은 한심하기 그지없었다. 세계와 유리된 지 너무 오래돼 판단력이 실종된 괴팍한 과대망상자였다. 나의 지적 영웅이었던 인물의 초라한 말년을 보는 것만큼 슬픈 일은 별로 없다.

아마존 정글에서 일 주일 남짓 머무를 계획을 세우면서, 인터넷이 안될 것이므로 읽을거리를 넉넉히 챙길 준비를 하다가 킨들에 추천도서로 게리 라크먼이 쓴 윌슨의 전기가 뜬 것을 보았다. 게리 라크먼은 오컬트 분야에서 상당히 훌륭한 신진(나이가 적지는 않으나) 작가로, 젊을 적에는 Blondie의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면서 락앤롤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된 바 있는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이미 그가 썼던 루돌프 슈타이너나 우스펜스키/구르지에프에 대한 책을 좋게 읽었기 때문에 거의 아무런 고민 없이 책을 원클릭으로 구매했다. (킨들 원클릭 구매, 정말 무서울 정도로 쉽고 빠르다)

여행을 다니는 중간중간마다 꾸준히 윌슨의 전기를 읽었다. 그리고 내가 윌슨의 말년에 대해 얼마나 잘못 생각하고 있었는지, 옵저버의 그 기사가 얼마나 편견으로 가득차 있던 쓰레기였는지를 알게 됐다. 이 글은, 실은 그때 옵저버의 기사를 이응준 작가에게 보여주면서 코멘트를 했던 것을 지금 크게 후회하기에 쓰는 것이다.

또한, 사실 제목만 보고 읽어본 적은 없지만 윌슨의 소설 작품들도 상당히 가치가 있겠다고, 한번 시간 내어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됐다. 내가 존경하는 두 소설가의 ‘소설’에 대한 관점은 정반대라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닐진대, 하나는 ‘소설하기의 잡스러움’을 말하는 박상륭이고((공교롭게도 내가 이 글을 리마에서 끄적이고 있던 7월 1일, 박상륭 선생이 세상을 떠났다. 마치 이응준이 ‘통일 대한민국에 대한 어두운 회고’ 연재를 끝마칠 때쯤 윌슨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은 것처럼.)) 다른 하나는 자신의 철학을 소설로 표현하기를 잡스럽게 여기기는 커녕 오히려 더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여겼던 윌슨이다. 나중에 윌슨의 소설들을 좀 읽어본 다음 두 작가의 상반된 입장에 대해 글을 써보는 것도 좋겠다고, 전기를 읽는 내내 생각했다.

여행을 정말 싫어했던 윌슨은 말년에 초고대문명과 관련된 세계의 유적들 곳곳을 방문하게 됐는데 꽤 많은 유적들이 남미에 있는 것들이었다. 나의 계획 부족과 예산 문제로 이번에는 그런 곳들을 찾지 못했는데 다음번에는 꼭 방문하고 싶다.

(2017년 7월 1일, 리마에서)

Leave a Reply